제목 DECODE JAY-Z WITH BING 빙으로 제이지 해독하기
광고주 BING/JAY-Z
제품/서비스 DECODE JAY-Z WITH BING
대행사 DROGA5 New York
국가 USA
[Integrated Grand Prix] 350쪽으로 이뤄진 제이지의 인생과 노래가사가 뉴욕 전역 길거리에 숨겨졌다. 실마리를 찾아라.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으로 그의 이야기를 추적하라.
개요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 빙은 좀 더 젊은 오디언스들을 끌어들이고 검색 기술과 지도 기능을 좀 더 문화적인 방향으로 만들고자 했다.
전략
제이지(Jay-Z)의 자서전 “해독(Decoded\"을 이용해 빙의 조회수를 높이기로 했다. 제이지와 빙의 독특한 결합은 빙을 대중문화의 선두에 서게 했으며 수백만의 제이지 팬들이 빙의 검색 기능과 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이유를 만들어냈다.
크리에이티브 집행
제이지 자서전의 모든 페이지를 전세계 여러 장소에 설치하기 시작했다. 페이지는 무작위로 전시된 것이 아니다. 350페이지 모두가 각 페이지 내용과 관계있는 장소에 배치되었다. 전세계 팬들은 제이지가 걸었던 길을 실제로 걸으며 제이지가 말하는 바로 그 장소에서 제이지의 스토리를 직접 경험할 수 있게 됐다. 이 캠페인에서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했다. 또한 매체가 없을 때는 우리만의 매체를 직접 만들기도 했다. 그 중 몇 가지만 들자면 피자 상자, 접시, 햄버거 포장지, 직소 퍼즐, 티셔츠 등이 매체로 사용됐다. 팬들은 페이지가 적힌 매체들을 찾아 나섰고, 이를 발견해 독특한 페이지들을 서로 모아보기 위래 교류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간과되었던 물건들이 수집가들의 귀중한 소장품이 되었다.
그리고 캠페인의 중심에는 디지털 게임 경험이 있었다. 이는 빙 검색 엔진과 빙 지도 서비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팬들이 각자 찾아낸 페이지들을 교환하는 시장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 캠페인이 시작된 후 한 달 남짓 지나 제이지의 자서전이 정식 발간되기 전에 팬들은 이미 bong.com/jay-z에서 디지털 책을 완성해냈다.
결과
- 온라인 페이지 방문자들은 평균 11분을 머물렀다.
- 캠페인 런칭 기간 제이지의 페이스북 팬의 수가 1백만 명 증가했다.
- 빙의 평균 방문자 수가 11.7% 증가했다.
- ‘해독’은 발간되자마자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19주 연속 머물렀다.
- 빙은 세계 10대 최다 방문자 목록에 올랐다.
- 총 글로벌 미디어 임프레션이 11억에 달했다.